[음운변동] 탈락
탈락(脫落)현상이란 두 음운 중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현상. 둘 이상의 음절이나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에 음절이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가+아서'가 '가서'로, '울+는'이 '우는'이 되는 것 따위이다. 탈락현상을 이루는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참고 자음군 단순화 받침 자리의 겹자음(자음군)은 앞엣것과 뒤엣것 중 하나로만 발음되는 현상을 이른다. ① ㅄ→[ㅂ], ㄳ→[ㄱ], ㄽ→[ㄹ], ㄾ→[ㄹ], ㄵ→[ㄴ] :앞엣것이 발음되는 겹자음. 값→[갑], 몫→[목], 외곬→[외골], 핥고→[할꼬], 훑지→[훌찌], 앉고→[안꼬] ② ㄻ→[ㅁ], ㄿ→[ㅂ] : 뒤엣것이 발음되는 겹자음. 젊다→[점따], 닮다→[담따], 읊지→[읍찌] ③ 'ㄺ'의 발음: [ㄱ]으로 발음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용언의 어간..
[음운변동] 첨가현상
음운의 첨가 1. 'ㄴ' 첨가 합성어, 파생어, 구 등에서 앞 형태소의 말음이 자음이고 뒤 형태소의 두음이 '야, 여, 요, 유, 이, 예'일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어, [냐, 녀, 뇨, 뉴, 니, 녜]로 발음될 수 있다. 첨가 현상은 어휘의 차이에 따라 일어나는 수의적 음운현상이므로 단어나 구에 따라 일어나지 않기도 한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서는 첨가현상의 발음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배: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