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8)
[음운변동] 복수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단어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축약 교체 + 축약 출처 기출단어 변동횟수 ●19국회9 따뜻하다 [따뜯하다]→[따뜨타다] ●19서울7 따뜻하다 [뜯하다] → [뜨타다] ●15교행9 몇해 [멷해] → [며태] ●15서울9 솥하고 [솓하고] → [소타고] ●21경찰1 外 숱하다 [숟하다] → [수타다] 2. 음절의 끝소리 규칙 + 비음화 교체 + 교체 출처 기출단어 변동횟수 ●18국가9 깎는 [깍는] → [깡는] ●18서울9 꽃내음 [꼳내음] → [꼰내음] ●15사복9 꽃망울 [꼳내음] → [꼰내음] ●16경찰2 끝내 [끋내] → [끈내] ●11군무원 끝물 [끋물] → [끈물] ●19서울7 맡는 [맏는] → [만는] ●16법원9 앞만 [압만] → [암만] ●11군무원 앞문 [압문] → [암문] ●19법원9 있니..
[음운변동] 탈락 탈락(脫落)현상이란 두 음운 중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현상. 둘 이상의 음절이나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에 음절이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가+아서'가 '가서'로, '울+는'이 '우는'이 되는 것 따위이다. 탈락현상을 이루는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참고 자음군 단순화 받침 자리의 겹자음(자음군)은 앞엣것과 뒤엣것 중 하나로만 발음되는 현상을 이른다. ① ㅄ→[ㅂ], ㄳ→[ㄱ], ㄽ→[ㄹ], ㄾ→[ㄹ], ㄵ→[ㄴ] :앞엣것이 발음되는 겹자음. 값→[갑], 몫→[목], 외곬→[외골], 핥고→[할꼬], 훑지→[훌찌], 앉고→[안꼬] ② ㄻ→[ㅁ], ㄿ→[ㅂ] : 뒤엣것이 발음되는 겹자음. 젊다→[점따], 닮다→[담따], 읊지→[읍찌] ③ 'ㄺ'의 발음: [ㄱ]으로 발음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용언의 어간..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5강 - 두시언해 동영상강의 작품개관 󰊱 두시언해 개관 성당 때의 시인 두보의 시를 국역한 시집으로 원명은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로 원(元)나라 때 편찬된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를 원본으로 삼아 두보의 시 1,647편 전부와 다른 사람의 시 16편에 주석을 달고 풀이한 책으로, 초간본(初刊本)과 중간본(重刊本)이 있으며, 초간 '두시언해'는 1443년(세종 25) 4월에 착수, 1438년 만인 1481년(성종 12)에 비로소 간행된 한국의 첫 역시집(譯詩集)이다. 세종 ·성종 때에 걸쳐 왕명으로 승려 의침(義砧)을 비롯하여 유윤겸(柳允謙) ·유휴복(柳休復) ·조위(曺偉) 등이 주해하였는데, 당시 두시(杜詩)에 통달한 사람은 신분과 상관없이 종사하게 한 대대적인 번역사업이었으며, 전 25권, 활자본으..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4강 -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 강의 조선 전기 문학 󰊱 시대 개관 조선 초(14세기 말)부터 임진왜란(16세기 말) 까지 약 200년 간의 문학 시대로, 시가 문학의 난숙기를 이루었다. 훈민정음의 창제로 진정한 의미의 국문학이 융성하였으며, 악장․가사․소설 등 새로운 문학 양식이 싹터서 발전했다. 고려 시대에 발생한 시조는 크게 번성하였다. 󰊲 특징 ⑴ 훈민정음의 창제로 고려 시대의 구비 문학이 정착되고 경서와 문학서의 언해 사업이 활발했다. ⑵ 조선 왕조의 건국 위엄을 찬양하고, 왕실의 무궁한 번영을 축원하는 악장이 출현하였다. ⑶ 설화 문학의 발전과 중국 소설의 영향으로 한문 소설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⑷ 경기체가 붕괴되고 가사가 출현하였으며, 시조와 더불어 형식면에서 운문 문학이 지배적이었다. ⑸ 문학의 향유 계층은 ..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3강 - 정석가, 한림별곡 동영상강의 정석가 □ 연대 : 고려 시대. 고려 속요 □ 율격 : 분절체. 3음보(3․3․4의 율조) □ 성격 : 축도가(祝禱歌) □ 표현 : 과장법. 역설법. 반어법 □ 구성 : 6연으로 된 연시(聯詩) □ 주제 :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태평성대의 기원) □ 의의 : ① 영원 무궁한 사랑을 노래한 작품 ② 불가능한 상황을 전제로 한 완곡한 표현법을 살린 작품. □ 출전 : 악장가사 상저가 □ 갈래 : 고려 가요 □ 구성 : 전-후 2단 구성 □ 형식 : 전 4행의 비연시(非聯詩) □ 표현 : 영탄법. 반복법 □ 주제 : 부모에 대한 효심. 부모님을 공경하는 村婦의 소박한 효심 □ 성격 : 노동요. 방아노래 □ 의의 : ① 방아 찧을 때 부르던 노동요로부터 온 것이라 추정됨. ② 구전 민요가 정착된 민..
[음운변동] 자음축약 자음 축약 두 개의 자음이 하나의 소리로 줄어드는 현상. 즉 'ㅎ'의 뒤와 앞에 안울림 예사소리 'ㄱ, ㄷ, ㅈ, ㅂ'이 인접해 있을 때 두 음운이 축약되어 거센소리(유기음) 'ㅋ, ㅌ, ㅊ, ㅍ'으로 발음되는 것. 격음화 현상(激音化現象) 또는 거센소리되기라고도 한다. 현대국어에는 'ㅎ' 받침을 가진 명사가 없으므로, 이 현상은 'ㅎ'으로 끝나는 어간이나 접미사 '하-'를 가진 어간과 'ㄷ, ㅈ,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통합되는 활용형에서만 나타난다. 자음의 축약 자음 자음 발음 예시 ㅎ ㄱ ㅋ 국화[구콰] ㅎ ㄷ ㅌ 맏형[마텽] ㅎ ㅂ ㅍ 법학[버팍] ㅎ ㅈ ㅊ 좋고[조코] 자음축약은 축약되는 자음의 위치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예시 단어를 통해 자음축약 현상을 충분히 학습하도록 하자. ..
[음운변동] 첨가현상 음운의 첨가 1. 'ㄴ' 첨가 합성어, 파생어, 구 등에서 앞 형태소의 말음이 자음이고 뒤 형태소의 두음이 '야, 여, 요, 유, 이, 예'일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어, [냐, 녀, 뇨, 뉴, 니, 녜]로 발음될 수 있다. 첨가 현상은 어휘의 차이에 따라 일어나는 수의적 음운현상이므로 단어나 구에 따라 일어나지 않기도 한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서는 첨가현상의 발음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배:봉..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2강 - 고대가요(2) 동영상 강의 공무도하가 □ 갈래 : 4언 4구의 한역(韓譯) 시가 □ 연대 : 고조선(古朝鮮) □ 작자 : 백수광부(白鬚狂夫)의 아내. 곽리자고의 처 여옥이 노래로 정착. □ 성격 : 개인적 서정 가요 □ 표현 : 직서법, 직정적이고 절박(切迫)한 표현 □ 별칭 : 곡명은 ‘공후인(箜篌引)’ □ 출전 : □ 주제 : 임을 여읜 슬픔과 한(恨). 남편의 죽음을 애도(哀悼)함. □ 의의 : ① ‘황조가’와 함께 우리나라 최고(最古) 서정 가요 ②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시기의 가요 ③ 문헌상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서정 시가 정읍사 □ 갈래 : 3장 6구의 시가 (각 연에 후렴구가 있음) □ 연대 : 미상. 백제 시대(고려 시대로 보는 설도 있음) □ 작자 : 어느 행상(行商)인의 처(妻) □..
[2022] 군무원 국어 기출 문제 해설
[2022] 군무원 국어 9급 기출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