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문학이론

(9)
[수사법 익히기] 강조법 총정리 [1] 과장법 ▶뜻 ① 대상을 본래보다 과도하게 크게 혹은 작게 나타내는 방법 ② 실제보다 크게 나타내는 과장을‘향대과장(向大誇張)’,또는 ‘과대진술’이라고 하고, 실제보다 작게 나타내는 과장을‘향소과장(向小誇張)’, 또는 ‘과소진술’이라고 한다. ▶특징 ① 과장법은 실제보다 크거나 작게, 많거나 적게, 멀거나 가깝게, 깊거나 얕게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② 사실을 불려 선명한 인상을 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③ 이 표현법은 표현하려고 하는 내용을 더욱 강조하는 데에, 그리고 생동감을 불러일으켜 감정적 고조를 일으키게 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 예문 (향대과장)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산더미 같은 파도 -어머니 은혜는 산같이 높다 -배가 남산만하다 등이 있고 (향소과장) -이제는 ..
[수사법 익히기] 변화법 총정리 [1] 대구법 ▶뜻 ① 비슷하거나 동일한 문장 구조를 짝을 맞추어 늘어놓는 표현법이다. ② 비슷한 어조를 가진 어구를 짝 지어 나타내어 표현의 효과를 높이는 수사법. ③ 가락이 비슷한 구절을 나란히 늘어놓아 병행의 아름다움과 대립의 흥미를 주어서 문장을 변화있게 하는 방법이다. ▶특징 ① 대구는 앞과 뒤가 비슷한 형태를 갖는 것을 말하며,구절을 맞세워 표현하는 방법이다. 말의 가락이 비슷한 구절을 대립이 되도록 늘어놓아 병행의 미와 대칭의 미를 주고자 할 때 사용한다. ② 대구법은 성질이나 뜻에는 상관 없이 다만 가락의 비슷한 점만을 짝을 맞추어 병렬시킨다는 점에서, 사물의 상반되는 성질이나 뜻을 맞세우는 대조법과 차이를 보이며, 다른 한편으로 서로 관련된 내용을 짝을 맞춤이 없이 나열하는 열거법과도 차..
[수사법 익히기] 비유법 - 7. 의성법 [교육문화신문=이왕조 기자] 의성(擬聲)법이란 사물의 소리나 인간이 내는 소리를 그대로 묘사하여 실제와 같이 표현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의성법은 읽는 이나 듣는 이에게 실감을 돋우어 주어 강한 인상을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하여 의성어가 매우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어 동화·동요·시가·소설 등에서뿐만 아니라 일상 언어 생활에서도 현실감과 생동감, 박동감에 넘치는 의성법의 표현을 쉽게 구사할 수 있다. 의성법은 다음과 같은 문학작품에서 표현되고 있다. ◎ 이 골 물이 주룩주룩 저 골 물이 솰솰…… - 미상, 「유산가」 中에서 ◎ 처―ㄹ썩 철―ㄹ썩 쏴아아 따린다 부순다 무너바린다 -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中에서 ◎ 자기들끼리 끼룩거리면서/자기들끼리 낄낄대면서 - 황지우, 「새들도..
[문학이론-수사법] 비유법 - 5. 대유법 [교육문화신문=이왕조 기자] 대유(代喩)란 대신 빗댄다는 말이다. 대유법(代喩法)은 사물의 한 부분이나 특징 등을 들어 그 자체나 전체를 나타내는 표현기법이다. 즉 원관념에서 연상되는 어떤 일부분으로 전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대유법에는 제유법(提喩法)과 환유법(換喩法)이 있다. 제유법은 사물의 일부로서 그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환법은 그 사물의 성질이나 속성을 바탕으로 그 사물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대유법은 어떤 대상의 부분, 특징, 모양 등을 가지고 전체를 대신 나타내는 비유법의 하나이다. 제유법은 사물의 일부로써 그 사물 자체의 전체를 드러내고, 환유는 사물의 일부 속성으로써 그것과 관계되는 사물의 전체를 나타낸다. 대유법(제유법)이 쓰인 표현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 가노라 삼각산..
[문학이론-수사법] 비유법 - 6. 풍유법 [교육문화신문=이왕조 기자] 풍유(諷諭)란 본뜻은 숨기고 비유하는 말만으로 숨겨진 뜻을 암시하는 것을 뜻한다. 수사법으로 풍유법(諷諭法)은 원관념(元觀念)을 뒤에 숨기고 보조관념(補助觀念)만으로 숨겨진 본래의 의미를 암시하는 표현기법이다. 즉, 말하고자 하는 본뜻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속담이나 격언, 우화 등 다른 표현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풍유법은 주로 교훈적, 우의적(寓意的)인 문장에 많이 쓰이는데 속담과 우화, 격언이 대표적이다. 일명 우화법(寓話法), 우언법(寓言法)이라고도 하는데,이면에 숨겨진 의미가 풍자적·암시적인 성질의 것이 많다. 「토끼전」, 「장끼전」, 「이솝 우화」 등과 같은 작품의 경우 한 편의 글 전체가 풍유의 기법으로 쓰여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풍유..
[문학이론 수사법] 비유법 - 4. 활유법 [교육문화신문=이왕조 기자] [4] 활유법(活喩法) 활유법(活喩法)이란 활유(活喩)란 살아 있는 것에 빗대다는 말로 활유법(活喩法)은 무생물을 생물처럼 나타내는 표현기법이다. 움직일 수 없는 것(무생물)을 움직일 수 있는 것(생물)처럼 표현하는 방법으로 이해하면 된다. 의인법과 정확하게 구별하자면 사람이 아닌 것에 인격을 부여하면 의인법이 되고 무생물을 생물처럼 것처럼 표현하면 활유법이 된다. 활유법(活喩法)은 무생물을 생물처럼 나타내는 표현기법이다. 활유법은 무정물(無情物)을 유정물(有情物)처럼 표현하기 때문에 주로 생동감을 더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 활유법은 인격을 부여하여 표현하는 의인법(擬人法)과는 구별된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때로는 두 가지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할 때도 있다. 활유법은 시, 동..
[문학이론-수사법] 비유법 - 3. 의인법 [교육문화신문=이왕조 기자] [3] 의인법(擬人法) 의인(擬人)이란 ‘사람에 비긴다’는 말이다. 수사법으로 의인법(擬人法)은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에 비겨 사람이 행동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기법을 말한다. 즉, 무생물이나 동식물, 그리고 추상적 개념과 같은 인격이 없는 대상에다가 인격을 부여하여 표현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의인법(擬人法)은 무생물이나 비인격체를 인간인 것처럼 그려내므로 대상에 대한 친밀감이나 정겨움을 주는 특징과 효과가 있다. 의인법이 쓰인 표현은 다음과 같이 쓰이고 있다. ◎ 간다 간다 나는 간다 너를 두고 나는 간다 / 잠시 뜻을 얻었노라 까불대는 이 시운이 나의 등을 내밀어서 너를 떠나가게 하니 / 일로부터 여러 해를 너를 보지 못할지나 그 동안에 나는 오직 너를 위해 일하리니 / 나..
[문학이론-수사법] 비유법 - 2. 은유법 [교육문화신문=이왕조 기자] [2] 은유법(隱喩法) ▶ 은유법이란 은유(隱喩)란 사물의 상태나 움직임을 암시적으로 나타낸다는 말로 다른 말의 개입이 없이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바로 연결시키는 표현기법이다. 주로 '~은/의 ~이다'의 형태를 취한다. 또 '같이', '처럼', '듯이' 등의 연결어를 사용해 명백한 비교를 통해 드러내는 직유(直喩)와는 달리 연결어가 없고 둘 사이의 관계가 'A는 B다', 또는 'A의 B'와 같은 형태를 취하는 기법이다. 즉, 보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직접 연결시키는 비유 방식이다. ▶은유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은유법은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는다. 고도화되고 세련된 비유의 방법으로 원관념과 보조 관념이 부사, 어미, 조..
[문학이론-수사법] 비유법 - 1. 직유법 [교육문화신문=이왕조 기자] 수사법(修辭法)이란 글쓴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효과적이면서 미적 표현을 위하여 문장과 언어를 꾸미는 방법을 이르는 표현기법이다. 여기에는 말하고자 하는 바를 다른 대상에 비유하여 표현하거나, 변화를 주어 표현하거나, 어떤 부분을 특별히 강하게 주장하거나 두드러지게 나타내어 표현하는 기법들이 포함된다. 결국 수사법에 대한 이해는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전달 능력을 미적으로 키울 수 있는 길인 것이고, 독자에게는 이해 능력을 넓힐 수 있는 길이 되며, 수험생들에게는 수능이나 공무원 시험 등 각종 시험 점수와 직결되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지에서는 여러 표현기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풍부한 예문을 통하여 수사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연재를 기획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