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문규정/한글맞춤법

[주관식훈련] 하루 30분으로 한글맞춤법 끝장내기 12

728x90
반응형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는?
(남존녀비/남존여비)의 전근대적 관념이 남아 있다.
(납작/납짝)하게 말라있는 꽃을 책갈피로 만든다.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낳았다).
둘 가운데 이것이 더 (나아/낳아) 보인다.
우리나라가 (낳은/나은) 천재적인 과학자이다.
아무래도 (나/내) 자리 뺐겼나 봐요.
(냇과/내과) 진료소로 가시오.
(내래월/내내월(來來月))까지 비가 온다고 한다.
산이 가팔라서 힘들었지만 우리는 힘차게 발을 (내디뎠다/내딛었다).
(내노라하는/내로라하는) 씨름꾼들이 다 모여 있었다.
(내노라하는/내로라하는) 재계의 인사가 한곳에 모였다.
성대모사로 (내노라하는/내로라하는) 인기인이 되었다.
잔치에는 (내노라하는/내로라하는) 연예인이 모두 왔다.
고향의 (내음/냄새).
음식 (냄새/내음)가 난다.
우리 (내일/래일) 만나자.
라면은 (냄비/남비)에 끓여야 제맛이 난다.
소녀는 소년을 오늘도 (냇가/내가)에서 기다렸다.
노래하는 소리가 큰길 (너머/넘어)까지 들렸다.
오늘 내로 고개 둘을 (너머야/넘어야) 한다.
옷을 만들고 남은 헝겊 (나부랭이/너부렁이)가 많다.
관료  (나부랭이/너부렁이)
 
 

정답
남존여비의 전근대적 관념이 남아 있다.
납작하게 말라있는 꽃을 책갈피로 만든다.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둘 가운데 이것이 더 나아 보인다.
우리나라가 낳은 천재적인 과학자이다.
아무래도 자리 뺐겼나 봐요.
내과 진료소로 가시오.
내내월(來來月)까지 비가 온다고 한다.
산이 가팔라서 힘들었지만 우리는 힘차게 발을 내디뎠다.
내로라하는 씨름꾼들이 다 모여 있었다.
내로라하는 재계의 인사가 한곳에 모였다.
성대모사로 내로라하는 인기인이 되었다.
잔치에는 내로라하는 연예인이 모두 왔다.
고향의 내음.
음식 냄새가 난다.
우리 내일 만나자.
라면은 냄비에 끓여야 제맛이 난다.
소녀는 소년을 오늘도 냇가에서 기다렸다.
노래하는 소리가 큰길 너머까지 들렸다.
오늘 내로 고개 둘을 넘어야 한다.
옷을 만들고 남은 헝겊 너부렁이가 많다. (복수)
관료 나부랭이. (복수)

 

 


해설
남존여비 ∥19기상9
󰃃[男尊女卑]남자를 더 우대하는 일.
󰃫 ‘한글맞춤법’ -[남존녀비(X)]
납작 ∥12국회9
󰃌 몸을 바닥에 바짝 대고 엎드리는 모양.
󰃫 한글맞춤법 -[납짝(X)]
낫다 ∥17국가9
󰂿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쳐지다.
󰃫 활용형 - [나아]
󰃰 서로 견주어 더 좋거나 앞서 있다.
󰃫 활용형 - [나아]
낳다 󰂿 밴 아이나 알을 몸 밖으로 내놓다.
󰃫 활용형 - [낳아]
‘나의’의 준말
내과 ∥10서울7
󰃃[內科]2음절 한자어
󰃫 ‘한글맞춤법’ -[냇과(X)]
내내월 ∥21경찰2차
󰃃[來來月]다다음달.
󰃫 ‘두음법칙’ -[내래월(X)]
내디디다
내딛다
∥16교행9
󰂿 밖이나 앞쪽으로 발을 옮겨 현재의 위치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다.
󰃫 ‘본말과 준말’ -[내딛어(X)]
내로라하다 ∥21군무원9∥19법원9∥12지방7∥11지방7
󰂿 어떤 분야를 대표할 만하다.
󰃫 한글맞춤법 -[내노라하다(X)]
내음 ∥17기상7∥15군무원9
󰃃 향기로운 냄새. 주로 문학적 표현.
냄새 󰃃 후각
󰃫 복수 표준어(별도 의미)
내일 ∥14경찰2
󰃃[來日]두음법칙 표기 단어
󰃫 두음법칙 -[래일(X)]
냄비 ∥19기상9∥12법원9
󰃃 음식을 만들 때 쓰는 용구의 하나.
󰃫 ‘ㅣ모음역행동화’ -[남비(X)]
냇가 ∥18지방7∥16경찰1∥12국회8
󰃃[내까/낻까]고유어+고유어
󰃫 ‘사이시옷’ -[내가(X)]
너머 󰃃 집이나 산 따위 높은 것의 저쪽.
넘어 󰂿 높은 부분의 위를 지나가다.
나부랭이
너부렁이
∥20국회9
󰃃 어떤 사람, 물건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복수 표준어[너부랭이(X)나부랑이(X)]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