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명사는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를 가리킨다. 자립명사에 상대되는 말로서 명사의 성격을 띠고 있으면서도 그 뜻이 형식적이어서 다른 말에 기대어야 제 기능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의존명사는 크게 형식성 의존명사와 단위성 의존명사로 나뉜다. 형식성 의존명사는 실질적 의미가 결여되어 있거나 희박한 의존명사이고, 단위성 의존명사는 실질적 의미, 즉 수량단위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어떠한 문장성분으로 기능하느냐에 따라 보편성, 주어성, 서술성, 목적어성, 부사성 의존명사로 각각 나누어진다.
★의존명사는 관형사나 용언의 관형형이 주로 수식한다.
관형어(은/는/ㄴ/ㄹ/던) + 의존명사
★의존명사는 형태는 그대로 있으면서 품사가 조사, 어미 등으로 달라지면서 혼동을 일으키기 쉬운데, 앞에 오는 단어의 품사에 따라 관형어 아래 쓰이면 명사, 체언 아래 쓰이면 조사, 서술어 아래 쓰이면 어미로 처리한다.
①형식성 의존명사:
실질적 의미가 결여되어 있거나 희박한 의존명사. 용언의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아 의미가 성립한다.
이 | 관형사형 어미 뒤에 쓰여 '사람'의 뜻을 나타낸다. | 아는 이를 만났다. |
리 | {관형사형 어미 '-을' 뒤에 '있다', '없다' 따위와 함께 쓰여} '까닭', '이치'의 뜻 | 그럴 리가 없다. |
분 | 사람을 높여서 이르는 말. | 어떤 분이 선생님을 찾아오셨습니다. |
수 | {관형사형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주로 '있다', '없다' 따위와 함께 쓰여} 어떤 일을 할 만한 힘이나 가능성. | 잡혀 온 짐승처럼 을생을 쳐다보는 여자의 눈에는 말할 수 없는 애처로움과 공포가 외롭게 가라앉아 있었다(한수산, '유민'). |
나위 | {주로 '-을 나위 없다' 구성으로 쓰여} 더 할 수 있는 여유나 더 해야 할 필요. | 아사녀는 앞뒤를 생각할 나위도 없이 벼락이 내리치는 것처럼 정신이 아뜩하고 말았었다(현진건, '무영탑'). |
나름 | 체언이나 명사형 어미 '-기',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서 '이다'와 함께 쓰여 ' 그 됨됨이나 하기에 달림'을 나타낸다. | 책도 책 나름이지 그 따위 책이 무슨 도움이 되겠니? |
따름 |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따름이다'의 구성으로 쓰여 '오로지 그것뿐이고 그 이상은 아님' | 나는 너만 믿을 따름이다. |
터 |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쓰여 '예정, 추측, 의지'의 뜻을 나타내거나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던' 뒤에 쓰여 '처지, 형편'의 뜻을 나타낸다. | 집에 있을 터이니 전화해라. |
때문 | 명사나 대명사, 명사형 어미 '-기',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던' 뒤에 쓰여 '어떤 일의 원인이나 까닭'을 나타낸다. | 가뭄 때문에 농작물이 말라 죽어간다. |
양 | 관형사형 어미 뒤에 쓰여 '어떤 모양을 하고 있거나 어떤 행동을 짐짓 취함'을 나타내거나 조사 '-으로, -이면'과 붙어 '의향'이나 '의도'의 뜻을 나타낸다. | 공부를 할 양으로 책상에 앉았다. |
체 | 관형사형 어미 뒤에 쓰여 '그럴듯하게 꾸미는 거짓 태도나 모양'을 나타낸다. '척'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 애써 태연한 체(척)를 하다. |
무렵 | 명사나 관형사,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쓰여 '대략 어떤 시기와 일치하는 즈음'을 나타낸다. | 졸업하던 바로 그 무렵의 일이다. |
딴 | 인칭대명사 뒤에서 '딴은', '딴에는', '딴으로는' 꼴로 쓰여 '자기 나름의 생각이나 기준'을 나타낸다. | 제 딴에는 열심히 한 모양이에요. |
적 | 일부 명사나 관형사형 어미 '-(으)ㄴ', '-(으)ㄹ' 뒤에 쓰여 '그 동작이 진행되거나 그 상태가 나타나 있는 때, 또는 지나간 어떤 때'를 나타낸다. | 창수는 어릴 적 친구다. |
둥 | '-(으)ㄴ(-는․-(으)ㄹ) 둥 만(마는․말) 둥'의 구성으로 쓰여 '무슨 일을 하는 듯도 하고 하지 않는 듯도 함'을 나타내거나 '-다는(-냐는․-라는․-자는) 둥'이나 '-다는(-냐는․라는․-자는) 둥' 구성으로 쓰여 '이렇다거니 저렇다거니 하며 말이 많음'을 나타낸다. | 이것을 하라는 둥 저것을 하라는 둥 말이 많다. |
등 | 명사나 관형사형 어미 '-는' 뒤에 쓰여 '그 밖에도 같은 종류의 것이 더 있음'을 나타내거나 명사 뒤에 쓰여 '열거한 대상이 복수임을 나타내거나 그것들을 한정함'을 나타낸다. | 울산 구미 창원 등과 같은 공업도시. |
족족 | 관형사형 어미 '-는'이나 의존명사 '데' 뒤에 쓰여 '어떤 일을 하는 하나하나의 뜻'을 나타낸다. | 돈을 버는 족족 써 버리다. |
즈음 | 관형사 '이', '그' 따위나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쓰여 '일이 어찌 될 무렵'을 나타낸다. | 퇴근할 즈음(즘) 전화가 오다. |
턱 |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서 '없다'와 함께 쓰이거나 '있다'와 함께 반어형으로 쓰여 '마땅히 그리하여야 할 까닭이나 이치'를 나타낸다. 체언, 관형사,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그만한 정도나 처지'를 나타낸다. | 이 사실을 그가 알 턱이 없다. |
쪽 | 용언의 관형사형이나 체언 뒤에서 '방향을 가리키거나 서로 갈라지거나 맞서는 것 하나' | 시장이 있는 쪽에는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 |
참 | '일을 하다가 일정하게 잠시 쉬는 동안'이나 관형사형 어미 뒤에 쓰여 '무엇을 하는 경우나 때' | 서울에 가는 참에 고모한테 들러 오너라. |
편 | '사람이 오고 가거나 물건을 부쳐 보내는 데 이용하는 기회나 수단'을 나타내거나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편이다' 구성으로 쓰여 '대체로 어떤 부류에 속함'을 나타낸다. | 친구가 가는 편에 소식을 전하다. |
줄 |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어떤 방법, 셈속 따위'를 나타낸다. | 새댁은 밥을 지을 줄 모른다. |
노릇 | 일부 명사 뒤에 쓰여 '맡은 바 구실'을 나타내거나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일의 됨됨이나 형편'을 나타낸다. | 그것 참 기가 찰 노릇이구나. |
마련 | '-기/-게 마련이다' 구성으로 쓰여 '당연히 그럴 것임'을 나타내거나 '-은/던 마련으로' 구성으로 쓰여 '그런 정도나 상태로'의 뜻을 나타낸다. | 물건이란 오래 쓰면 닳게 마련이다. |
셈 | '-은/는 셈이다', '은/는 셈으로' 구성으로 쓰여 '어떤 형편이나 결과'를 나타내거나 '어떻게 하겠다는 생각'을 나타낸다. 또한 '-은/는/을 셈 치다' 구성으로 쓰여 '미루어 가정함'을 나타낸다. | 이만하면 실컷 구경한 셈이다. |
김 | { '-은/는 김에/ 구성으로 쓰여} 어떤 일의 기회나 계기. | 아직은 거기까지는 멀었으니 참는 김에 더 참아 봅시다(송기숙, '암태도'). |
뻔 | {관형사형 어미 '-을' 뒤에 쓰여}어떤 일이 자칫 일어날 수 있었으나 그렇게 되지 아니하였다 | 폭설을 만나 길을 잃어버려 얼어 죽을 뻔도 했고, 길을 질러가려고 저수지 얼음판 위를 걷다가 한가운데서 얼음이 뿌지직뿌지직 갈라지며 내려앉는 바람에 물귀신이 될 뻔도 했다(조정래, ‘태백산맥’). |
망정 | {주로 어미 '-기에', '-니', '-니까', '-어서' 뒤에 쓰여}{'망정이지'의 꼴로 쓰여} 괜찮거나 잘된 일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 우리가 한발 앞섰기에 망정이지, 읍내 지서에 연락이 되었다면 놈들이 지금쯤 여기로 몰려오고 있겠지? (김원일, '불의 제전') |
②단위성 의존명사(단위어):
수효나 분량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쌀 한 말, 쇠고기 한 근, 굴비 한 두름, 북어 한 쾌, 고무신 한 켤레, 광목 한 필'에서 '말', '근', '두름', '쾌', '켤레', '필' 따위이다. 단위명사, 명수사, 셈낱이름씨라고도 한다. ☞단위성 의존명사는 대상의 수량을 나타내는 수관형사(數冠形詞:사물의 수나 양을 나타내는 관형사. '두 사람'의 '두', '세 근'의 '세' 따위이다. 셈숱매김씨, 수량 관형사라고도 한다)의 수식을 받는다.
갓 | 굴비, 비웃(청어) 따위나 고비, 고사리 따위를 묶어 세는 단위. 한 갓은 굴비·비웃 따위 열 마리, 또는 고비·고사리 따위 열 모숨을 한 줄로 엮은 것을 이른다. | 10개 |
강다리 | 쪼갠 장작을 묶어 세는 단위. | 100개비 |
개 | 낱으로 된 물건을 세는 단위. | |
거리 | 오이나 가지 따위를 묶어 세는 단위. | 50개 |
고리 | 소주를 사발에 담은 것을 묶어 세는 단위. | 10사발 |
그루 | ①식물, 특히 나무를 세는 단위. ②한 해에 같은 땅에 농사짓는 횟수를 세는 단위. |
|
근 | 무게의 단위. | 600그램(고기,한약재 무게) 375그램(과일, 채소 무게) |
끼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밥을 먹는 횟수를 세는 단위. =끼니. | |
냥 | ①예전에, 엽전을 세던 단위. ②무게의 단위. 귀금속이나 한약재 따위의 무게를 잴 때 쓴다. |
① 한 냥은 한 돈의 열 배. ② 한약재의 무게를 잴 때는 한 근의 16분의 1로 37.5그램. |
님 | 바느질에 쓰는 토막 친 실을 세는 단위 | |
닢 | 납작한 물건을 세는 단위. 흔히 돈이나 가마니, 멍석 따위를 셀 때 쓴다. | |
담불 | 벼를 묶어 세는 단위. | 100섬 |
대 | 차나 기계, 악기 따위를 세는 단위. | |
돈 | ①무게의 단위. 귀금속이나 한약재 따위의 무게를 잴 때 쓴다. ②예전에, 엽전을 세던 단위. |
①한 돈은 한 냥의 10분의 1, 한 푼의 열 배로 3.75그램 ②한 돈은 한 냥의 10분의 1이고 한 푼의 열 배. |
되 | ① 부피의 단위. 곡식, 가루, 액체 따위의 부피를 잴 때 쓴다. ②곡식, 가루, 액체 따위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쓰여, 약간의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
① 한 되는 한 말의 10분의 1, 한 홉의 열 배로 약 1.8리터. |
두름 | ①조기 따위의 물고기를 짚으로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을 세는 단위. ②고사리 따위의 산나물을 열 모숨 정도로 엮은 것을 세는 단위. |
①10마리 ②10모숨 |
리(里) | 거리의 단위. | 약 0.393km |
리(釐/厘) | ①비율을 나타내는 단위. ②길이의 단위. ③무게의 단위. 주로 귀금속 따위의 무게를 잴 때 쓴다. |
①1리는 전체 수량의 1000분의 1로 1푼의 10분의 1. ②1리는 1푼의 10분의 1로 0.3mm. ③1리는 1푼의 10분의 1로 0.0375그램. |
마리 | 짐승이나 물고기, 벌레 따위를 세는 단위. =수(首). | |
마지기 | 볍씨 한 말의 모 또는 씨앗을 심을 만한 넓이 | 논은 약 150~300평, 밭은 약 100평 정도 |
말 | 부피의 단위. 곡식, 액체, 가루 따위의 부피를 잴 때 쓴다. | 한 되의 열 배로 약 18리터 |
명 | 사람을 세는 단위. | |
모금 | 액체나 기체를 입 안에 한 번 머금는 분량을 세는 단위. | |
문(文) | 길이의 단위. 신발의 크기를 잴 때 쓴다. | 약 2.4cm |
문(門) | 포나 기관총 따위를 세는 단위. | |
뭇 | ①짚, 장작, 채소 따위의 작은 묶음을 세는 단위. ②볏단을 세는 단위. ③생선을 묶어 세는 단위. ④미역을 묶어 세는 단위. ⑤세금을 계산할 때 쓰던, 논밭 넓이의 단위. |
③10마리 ④10장 ⑤한 줌의 열배 |
바람 | 길이의 단위. 한 바람은 실이나 새끼 따위 한 발 정도의 길이 | |
바퀴 | 어떤 둘레를 빙 돌아서 제자리까지 돌아오는 횟수를 세는 단위. | |
번(番) | ①일의 차례를 나타내는 말. ②일의 횟수를 세는 단위. ③어떤 범주에 속한 사람이나 사물의 차례를 나타내는 단위. |
|
벌 | 옷이나 그릇 따위가 두 개 또는 여러 개 모여 갖추는 덩어리를 세는 단위. | |
병 | 사냥에서, 매를 세는 단위. | |
병(甁)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액체나 가루 따위를 병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 |
분 | ①사람을 높여서 이르는 말. ②높이는 사람을 세는 단위. |
|
분(分) | ①한 시간의 60분의 1이 되는 동안을 세는 단위. ②각도의 단위. 1분은 1도의 60분의 1이다. ③위도나 경도를 나타내는 단위. 1분은 1도의 60분의 1이다. |
|
사람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세는 단위. 주로 고유어 수와 함께 쓴다. | |
사리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 국수, 새끼, 실 따위 |
사발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사발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 국이나 밥 |
상(床)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상에 음식을 그득하게 차린 것을 세는 단위. | |
섬 | 부피의 단위. 곡식, 가루, 액체 따위의 부피를 잴 때 쓴다. =석(石), 점(苫). | 한 말의 열 배로 약 180리터 |
손 | 한 손에 잡을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조기, 고등어, 배추 따위 한 손은 큰 것과 작은 것을 합한 것을 이르고, 미나리나 파 따위 한 손은 한 줌 분량을 이른다. | 2마리 |
술 | 밥 따위의 음식물을 숟가락으로 떠 그 분량을 세는 단위. | |
쌈 | ①바늘을 묶어 세는 단위. ②옷감, 피혁 따위를 알맞은 분량으로 싸 놓은 덩이 ③금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 |
①24개 ③백 냥쭝 |
우리 | 기와를 세는 단위. | |
자루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물건을 자루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 |
잔(盞)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잔에 담긴 그 분량을 세는 단위. | 음료나 술 |
장(張) | ①종이나 유리 따위의 얇고 넓적한 물건을 세는 단위. ②활, 쇠뇌, 금슬(琴瑟)을 세는 단위. ③얇은 구름의 덩이를 세는 단위. |
|
죽 | 옷, 그릇 따위의 세는 단위 | 10벌 |
줌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주먹으로 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 |
접 | 채소나 과일 따위를 묶어 세는 단위 | 100개 |
짐 | 논밭 넓이의 단위. 세금을 계산할 때 썼다. | 1짐은 1뭇의 열 배, 1동의 10분의 1 |
쪽 | 쪼개진 물건의 부분을 세는 단위. | |
채 | ①집을 세는 단위. ②큰 기구, 기물, 가구 따위를 세는 단위. ③이불을 세는 단위. ④가공하지 아니한 인삼을 묶어 세는 단위. |
④ 인삼 100근 |
척 | 배를 세는 단위. | 20마리 |
축 | 오징어를 묶어 세는 단위. | |
켤레 | 양말, 버선, 방망이 따위의 짝이 되는 두 개를 한 벌로 세는 단위. | |
쾌 | ①북어를 묶어 세는 단위. ②예전에, 엽전을 묶어 세던 단위. |
①20마리 ②10냥 |
톳 | 김을 묶어 세는 단위. | 100장 |
통 | 편지나 서류, 전화 따위를 세는 단위. | |
판 | 승부를 겨루는 일을 세는 단위. | |
판(板)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달걀을 묶어 세는 단위. | 30개 |
포기 |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뿌리를 단위로 한 초목의 낱개를 세는 단위. | |
기타 | 굴비 한 갓(10마리). 소주 한 고리(10사발). 오이 한 거리(50개). 달걀 한 꾸러미(10개). 비웃 한 두름(20마리). 고등어 한 손(2마리). 기와 한 우리(2000장). 버선 한 죽(10켤레). 오징어 한 축(20마리). 김 한 톳(100장). 장작 한 강다리(100개). 벼 한 담불(100섬). 굴비 한 뭇(10마리). 바늘 한 쌈(24개). 배추 한 접(100개). 인삼 한 채(100근). 운동화 한 켤레(2개). 북어 한 쾌(20마리). 나무 꼬챙이에 꿰어 말린 명태 한 태(20마리). 보약 한 제(20첩). |
'문법 > 이론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운변동] 복수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단어 (0) | 2022.08.03 |
---|---|
[음운변동] 탈락 (0) | 2022.08.03 |
[음운변동] 자음축약 (0) | 2022.07.20 |
[음운변동] 첨가현상 (0) | 2022.07.19 |
[음운변동] 된소리현상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