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이론문법

[음운변동] 탈락

728x90
반응형

탈락(脫落)현상이란 두 음운 중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현상. 둘 이상의 음절이나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에 음절이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아서''가서', '+''우는'이 되는 것 따위이다.

 

탈락현상을 이루는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참고 자음군 단순화

받침 자리의 겹자음(자음군)은 앞엣것과 뒤엣것 중 하나로만 발음되는 현상을 이른다.

 

[], [], [], [], [] :앞엣것이 발음되는 겹자음.

[], [], 외곬[외골], 핥고[할꼬], 훑지[훌찌], 앉고[안꼬]

 

[], [] : 뒤엣것이 발음되는 겹자음.

젊다[점따], 닮다[담따], 읊지[읍찌]

 

''의 발음: []으로 발음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용언의 어간 받침 ''은 어미 첫소리 '' 앞에서 []로 발음된다.

원칙: 밝다[박따], 밝지[박찌], 읽다[익따], 갉지[각찌], 흙과[흑꽈]

예외: 밝고[발꼬], 밝게[발께], 읽게[일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의 발음: []로 발음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넓다'에서 파생된 두 단어와 '넓다'와 합성된 한 단어, '밟다'의 받침은 예외적으로 []으로 발음된다.

원칙: 넓다[널따], 여덟[여덜], 짧다[짤따], 떫다[떨따], 얇다[얄따]

예외: 넓적하다[넙쩌카다],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밟다[밥따], 밟소[밥쏘], 밟지[밥찌], 밟는[밥는][밤는], 밟게[밥께]

 

 

공무원 시험에 출제된 탈락 현상이 일어난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728x90
반응형
LIST

'문법 > 이론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문법] 의존명사  (0) 2022.08.05
[음운변동] 복수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단어  (0) 2022.08.03
[음운변동] 자음축약  (0) 2022.07.20
[음운변동] 첨가현상  (0) 2022.07.19
[음운변동] 된소리현상  (0) 20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