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휘/어휘기타

[언어생활] 나이와 관련된 한자어

728x90
반응형

 

공무원 시험에서 나이와 관련된 한자어의 출제 비중은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학습이 되어 있지 않으면 전혀 풀 수 없는 문제 유형이므로 빈틈없는 시험 대비를 하는 수험생들은 반드시 익혀 놓아야 할 부분이다.

 

나이와 관련된 한자어는 다음과 같다.

출제 나이 단어 의미
미출제 1 농경(農璟)
농와(弄瓦)
아들
미출제 15 지학(志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미출제 16 과년(瓜年) 여자가 혼기(婚期)에 이른 나이.
미출제 20 약관(弱冠)
방년(芳年)
갓을 쓰는 나이(남자)
꽃다운 나이(여자)
미출제 30 이립(而立) 마음이 확고하게 도덕 위에 서서 움직이지 않는 나이.
미출제 40 불혹(不惑) 세상일에 정신을 빼앗겨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는 나이.
18. 교육행정 9 41 망오(望五) 50을 바라보는 나이.
미출제 48 상수(桑壽) 48세의 파자(破子)
미출제 50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명을 깨닫는 나이.
미출제 60 이순(耳順)
육순(六旬)
귀가 순해져 모든 말을 객관적으로 듣고 이해할 수 있는 나이.
미출제 61 환갑(還甲) 태어난 간지의 해가 다시 돌아온다 .
18. 서울시 9 62 진갑(進甲)
화갑(華甲)
다시 60갑자가 펼쳐진다.
미출제 64 파과(破瓜) 벼슬에서 물러날 나이
미출제 70 고희(古稀)
종심(從心)
칠순(七旬)
70이 되기에는 예로부터 드물었다.
뜻대로 행해도 어긋나지 않는다.
미출제 71 망팔(望八) 여든을 바라보는 나이
18. 서울시 9
18. 교육행정 9
77 희수(喜壽) 77세의 파자(破子)
미출제 80 산수(傘壽) 분수를 알고 넉넉하게 산다는 뜻.
미출제 81 망구(望九) 90세를 바라본다는 뜻으로 81세를 뜻함.
18. 서울시 9
18. 교육행정 9
88 미수(米壽) 88세의 파자(破子)
미출제 90 졸수(卒壽),
구순(九旬)
나이 90세를 이르는 말
미출제 91 망백(望百) 백세(百歲)를 바라본다는 뜻으로 91세의 별칭
18. 서울시 9
18. 교육행정 9
99 백수(白壽) 99세를 이르는 말
미출제 100 상수(上壽) 병 없이 하늘이 내려준 나이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