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강의
시조문학 개관
1. 명칭 및 개념
고려 말기에 완성된 정형시(定型試)로서 민족의 정서를 담고 현재까지 이어진 유일한 민족 문학이다. 단가(短歌), 시여(詩餘), 영언(永言), 신조(新調), 가요(歌謠) 등으로 불려 오다가, 조선 영조 때 가객(歌客) 이세춘(李世春)에 의해 ‘시절가조(時節歌調)’ 곧 ‘당대의 유행 가조’라는 말이 줄어서 ‘시조’라는 명칭이 생겼다. 신광수(申光洙)의 ‘석북집(石北集)’에 전한다.
2. 발생 및 정착
여말(麗末)에 불교가 부패하여 유교가 발흥하고 사대부(士大夫)들이 신흥하면서 그들의 즉흥적인 시심(詩心)을 담을 수 있는 단형(短型)의 시가가 필요하였고, 이에 시조(時調)가 발생하였다.
고려 말기에 시형이 성립되어 전송(傳誦)되어 오던 시조는 조선조에 들어와서 훈민정음 제정에 따라 우리 국문학의 대표적인 문학 형식이 되었다. 고려 가요가 대중적이요, 민요적인 성격을 가진데 대하여 조선 초기에 들어와서의 시가는, 개성적이고 현실적인 면을 드러내고 있다.
3. 특징
① 조선조의 대표적인 문학 형태로 기반을 굳혔으며, 우리 나라 고유의 시가 형태로 가장 긴 역사를 유지하고 있다.
② 형식의 간결함이 당시 유학자들의 검소, 담백한 정서를 표현하는 데 알맞았다.
③ 유학자들 사이에서는 전원 생활과 더불어 군신간의 충의 이념을 읊은 작품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그 사상적 기반은 성리학이었다.
④ 조선 전기의 초기엔 회고나 절의(節義)의 노래가 중심을 이루었으나, 점차 자연예찬(自然禮讚), 유교 윤리의 선양(宣揚), 남녀의 애정을 노래하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확대되어 갔다.
⑤ 조선 전기의 시조는 단형 시조, 연시조가 주류를 형성하였으며, 문학성보다는 창(唱)을 위한 문학이었다. 이 중 송순, 황진이, 정철 등은 문학성을 심화시킨 대표적인 인물이다.
4. 기본 형식
3장 6구 45자 내외, 4음보로 구성되어 있다. 초장(初章)은 3․4․3․4, 중장(中章)은 3․4․3․4, 종장(終章)은 3․5․4․3 → 각 구에 한두자의 가감은 있으나, 종장의 첫째 구는 항상 고정되어 있다.
5. 종류
1) 평시조(平時調)
3장 6구로 총 글자수 45자 안팎의 구성을 가진 정형시인데, 매 구의 글자수는 7자 내지 8자로 된 형태의 시조를 말한다. 종장의 첫 구의 3자는 고정으로 하고, 둘째 구는 5자 이상으로 느는 것은 좋으나 그 이하가 되는 일은 거의 없다. 그 밖의 구절은 한두 자가 가감되어도 무방하다.
2) 엇시조
평시조에 일차적 파격(破格)을 시도한 것인데, 종장의 첫 구절을 제외하고는 어느 한 구절이 평시조보다 길어지는 형태로 중형 시조라고도 한다. 어느 한 구절이라 함은 보통 초장의 첫 구나 둘째 구가 되는 일이 많고, 그 글자 수는 10자 이상 늘어난 것을 말한다. 평시조는 한 구절이 늘어나도 9자까지이고, 10자는 간혹 허용될 뿐인데, 이것이 10자 이상으로 되면 엇시조로 파형이 되는 것이다.
3) 사설시조
평시조의 정형에서 두 구절 이상이 각각 그 글자수가 10자 이상으로 파격이 되는 시조로 장형 시조라고 한다. 이 파격 구는 대개가 중장이나(물론 초장도, 종장도 벗어날 수 있고), 3장이 다 벗어나는 수도 있다. 이 사설 시조는 창(唱)에서는 가사와 잡가(雜歌)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동영상강의 > 고전운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6강 - 용비어천가 (0) | 2022.08.16 |
---|---|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5강 - 두시언해 (0) | 2022.08.03 |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4강 - 용비어천가 (0) | 2022.08.01 |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3강 - 정석가, 한림별곡 (0) | 2022.07.21 |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2강 - 고대가요(2) (0)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