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영상강의/고전운문

[공무원국어] 고전 운문 1강 - 고대가요

728x90
반응형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기출분석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1강

 

공무원 국어 고득점 도전에 필수 관문인 고전운문 작품과 기출문제를 해설 강의한 파일.

고대가요에서 가사까지 총망라!

 

필히 익혀야 할 부분은

1. 작품 개관

2. 장르 개관

3. 주제 의식

4. 시어 - 사전적 의미, 함축적 의미

5. 표현상 특징이다.

 

이 부분에 주목하여 작품을 매일 한 작품씩 정리하면 

고전운문 완전정복의 순간이 다가올 것이니,

꾸준히 학습할 것!

 

 


고대문학 개관

 

1 고대 가요

1. 집단적이고 서사적인 종합 예술에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가 분리, 발달

2. 고대 가요는 설화 속에 삽입되어 전함

3. 서정 가요는 집단적 서정 가요로부터 개인적 서정 가요로의 변천 과정을 보임.

작품 작가 성격 내용 출전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처 서정적 물에 빠져 죽은 남편을 애도하는 노래, 공후인. 해동역사
구지가 구간 등 주술적 수로왕의 강림을 기원하는 주술적인 노래. 삼국사기
황조가 유리왕 서정적 꾀꼬리의 정다운 모습을 보고 실연의 슬픔을 노래. 삼국유사
정읍사 미상 서정적 행상 나간 남편을 걱정하는 아내의 마음을 노래. 악학궤범
해가 강릉 백성들 주술적 용에게 납치된 수로 부인을 구출하기 위해 부른 노래 삼국유사

 

2 향가 2016소방직 2013서울7】 【2013기상9

정의 : 한자의 음()과 훈()을 따서 표음 문자화한 향찰 문자로 표기된 신라의 노래

형성 : 삼국사기에 의하면 유리왕 5(A.D.28)도솔가가 지어진 것이 향가는 6세기 통일 신라 이후의 것들이다.

좁은 의미 : 사뇌가(詞腦歌), 6세기(삼국 통일기)로부터 13세기(고려 중엽)까지 존재한 문학 형식

넓은 의미 :중국 한시(漢詩)에 대한 당시의 우리 가요를 가리키는 명칭

형식

4구체(4) : 향가의 초기 형태

8구체(2) : 4구체에서 발전된 형태

10구체(19) : 향가의 완성 형식. 442구의 3() 구성. 끝 구절에 아아란 영탄구가 있음.

시조의 종장 첫구나 가사의 낙구에서도 그 형식적 전통을 찾을 수 있음.

내용 : 축사(逐邪), 연군(戀君), 설도(說盜), 안민(安民), 불교 신앙(佛敎信仰), 민요(民謠), 동요(童謠)

작가 : 승려화랑 등 당대의 지배 계층

표기 : 향찰(鄕札)

문헌 : 삼국유사(14), 균여전(11), 삼대목(위홍과 대구 화상이 편찬한 향가집, 不傳)

향가의 분류

내용상 분류 : 불교적(18), 군신 관계(2), 남녀 관계(2), 붕우 관계(2)

작자별 분류 : 승려나 불도(18), 화랑(3), 여류(1), 실명(1)

(9) 현전 작품

형식 작품 작가 내용
4구체 서동요 서동 서동이 선화 공주를 얻기 위하여 서라벌의 아이들에게 부르게 한 노래. 참요(讖謠)
풍요 백성들 양지가 영묘사의 장육존상을 만들 때 부역을 왔던 백성들에게 부르게 한 노래. 노동요
헌화가 어느 실명(失名) 노인 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수로 부인에게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노래.
도솔가 월명사 해가 둘이 나타나자 하나의 해를 없애기 위해 부른 산화공덕의 노래.
8구체 모죽지랑가 득오 화랑 죽지랑의 고매한 인품을 따르던 낭도가 추모하여 부른 노래.
처용가 처용 자기 아내를 범한 역신에게 이 노래를 불렀더니 역신이 물러갔다는 노래. 주술가
10구체 혜성가 융천사 심대성을 침범한 혜성을 물리치기 위해 부른 노래. 주술가
원왕생가 광덕 극락 왕생하기를 바라는 광덕의 불교적인 신앙심을 읊은 노래
원가 신충 효성왕이 나중에 다시 부르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자, 신충이 지어 잣나무에 붙였다는 노래. 주술가
제망매가 월명사 일찍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빌며 부른 노래. 추도가
안민가 충담사 경덕왕의 요청에 의해 임금과 신하와 백성의 도리를 노래한 치국안민의 노래. 목적문학
찬기파랑가 충담사 기파랑의 높은 인품을 추모하기 위해 부른 노래. 추모가
도천수대비가 희명 희명이 눈먼 자식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부른 불교적 신앙의 노래
우적가 영재 화랑 영재가 도적의 무리를 만나, 이 노래를 지어 부르자, 도둑들이 감동하여 승려가 되었다는 설도의 노래

 

 

3 한시

(1) 전개 양상

한시는 원래 중국의 전통시를 말한다. 한문화(漢文化)는 기운적 2세기 경부터 수입된 것으로 보이며, 4세기 경에는 한문이 지배 계층에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 시대가 전개되면서 국가 체제가 정비되고, 보편 종교인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한자의 보급으로 공동 문어 문학(共同文語文學)인 한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2) 한시의 구성 2017소방직

고체시 고시(古詩) 사언, 오언, 칠언 고시
악부(樂府) 장구(章句)
근체시 절구(絶句) 기승전결(起承轉結)4구로 구성된 4행시. 5언 절구, 7언 절구
율시(律詩) 4연 구성으로 1,2구를 수련, 3.4구를 함련, 5.6구를 경련, 7.8구를 미련이라고 함
5언 율시, 7언 율시
배율(排律) 12행 이상 오언 배율, 칠언 배율

 

(3) 주요 작품

작품 작가 연대 형식 내용 출전
여수장우중문시 을지문덕 고구려 5언 고시 수나라 적장 우중문에게 퇴각을 종용하며 조롱조로 지어 보낸 시 삼국사기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신라 7언 절구 세상을 멀리하고 은둔하고 싶은 심정을 노래 동문선
추야우중 최치원 신라 5언 절구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괴로움을 노래함 동문선
야청도의성 양태사 발해 7언 배율 타국에서 가을 달밤에 느낀 향수 경국집

 


구지가

갈래 : 4구체 한역(漢譯) 시가, 서사적 서정시

별칭 : 영신군가(迎神君歌), 가락국가, 구지봉 영신가(龜旨峯 迎神歌)

출전 : <삼국유사> 2, 가락국기

성격 : 제의적(祭儀的), 주술(呪術), 노동요, 집단 무가(集團舞歌)

표현 : 주술적(呪術的), 직설적 표현, 명령 어법

주제 : 수로왕 강림(降臨) 기원, 염원, 소망

             ② 생명 탄생(誕生)의 염원(念願)

의의 :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 무요

             ② 주술성(呪術性)을 지닌 현전 최고(最古)의 노동요(勞動謠)

 


龜何龜何 거북, 거북아             신(), 주술의 상대(돈호법)

首其現也 머리를 내어놓아라       임금, 우두머리(명령)

若不現也 만약 내놓지 않으면       가정(假定)

燔灼而喫也 구워서 먹으리            협박(脅迫), 위협(威脅)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