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강의/고전운문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4강 - 용비어천가

나는 ace 2022. 8. 1. 16:04
728x90
반응형


용비어천가 강의

 


조선 전기 문학

󰊱 시대 개관

조선 초(14세기 말)부터 임진왜란(16세기 말) 까지 약 200년 간의 문학 시대로, 시가 문학의 난숙기를 이루었다. 훈민정음의 창제로 진정한 의미의 국문학이 융성하였으며, 악장가사소설 등 새로운 문학 양식이 싹터서 발전했다. 고려 시대에 발생한 시조는 크게 번성하였다.

 

󰊲 특징

훈민정음의 창제로 고려 시대의 구비 문학이 정착되고 경서와 문학서의 언해 사업이 활발했다.

조선 왕조의 건국 위엄을 찬양하고, 왕실의 무궁한 번영을 축원하는 악장이 출현하였다.

설화 문학의 발전과 중국 소설의 영향으로 한문 소설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경기체가 붕괴되고 가사가 출현하였으며, 시조와 더불어 형식면에서 운문 문학이 지배적이었다.

문학의 향유 계층은 양반, 귀족 계층이었다.

유교를 바탕으로 성리학이 도입되어 철학적인 사상적 배경을 이룩하였다.

 

󰊳 악장(樂章)

정의 : 조선 초 궁중의 연락(宴樂)이나 종묘의 제악(祭樂) 등에 쓰이던 주악(奏樂)의 가사

작자 : 지배 계층에 속하는 신흥 사대부

내용 : 서사적이며 조선 개국의 창업이나 왕업 또는 개국 문물을 찬양한 송축의 노래

형식 : 속요체, 경기체가체, 한시체 등과 종래에 없던 신체(24구체)

사상 : 유교의 충의 사상이 바탕을 이루었고 평민에 뿌리를 내리지 못했기 때문에 일찍 소멸


용비어천가 개관

작가 : 정인지, 권제, 안지 등

연대 : 완성(세종27.1445), 간행(세종29.1447)

형태 : 악장. 영웅서사시. 송축가

형식 : 매장 전, 후절로 분절시켜 댓구 105125

동기 :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밝히기 위함.

후대 왕에 대한 권계(勸戒)를 위해 경천근민(敬天勤民) 강조.

훈민정음을 시험하기 위함

의의 : 훈민정음(한글)으로 된 최초의 문학 - 장편 서사시

성격 : 예찬적, 상징적, 설득적, 서사적

사상 : 중국과 대등한 위치에 서고자 하는 자주 사상

표현상 특징

대구, 영탄, 설의법 등 다양한 수사법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말을 시적 언어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배경 지식을 전제로 하여 다양한 내용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유기적인 구조를 갖추도록 표현하고 있다.

내용 :

서사(1-2) - 조선 왕조 건국의 정당성과 왕조의 번영을 기원.

본사(3-109) - 6조의 송덕과 창업의 어려움.

결사(110-125) - 후왕에 대한 권계 :110-124(물망장) 125(대단원)

주제 :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영원성 옹호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