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강의/고전운문
[공무원국어] 고전운문 2강 - 고대가요(2)
나는 ace
2022. 7. 19. 07:12
728x90
반응형
동영상 강의
공무도하가
□ 갈래 : 4언 4구의 한역(韓譯) 시가
□ 연대 : 고조선(古朝鮮)
□ 작자 : 백수광부(白鬚狂夫)의 아내. 곽리자고의 처 여옥이 노래로 정착.
□ 성격 : 개인적 서정 가요
□ 표현 : 직서법, 직정적이고 절박(切迫)한 표현
□ 별칭 : 곡명은 ‘공후인(箜篌引)’
□ 출전 : <해동역사>
□ 주제 : 임을 여읜 슬픔과 한(恨).
남편의 죽음을 애도(哀悼)함.
□ 의의 : ① ‘황조가’와 함께 우리나라 최고(最古) 서정 가요
②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시기의 가요
③ 문헌상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서정 시가
정읍사
□ 갈래 : 3장 6구의 시가 (각 연에 후렴구가 있음)
□ 연대 : 미상. 백제 시대(고려 시대로 보는 설도 있음)
□ 작자 : 어느 행상(行商)인의 처(妻)
□ 주제 : 행상(行商) 나간 남편의 안전을 기원(祈願).
□ 출전 : <악학궤범(樂學軌範)> 권5, 무고
□ 의의 : ① 현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
② 국문으로 표기된 가장 오래된 노래.
③ 시조 형식의 원형을 가진 노래.
처용가
□ 갈래 : 8구체 향가(4.4조의 민요조로 됨)
□ 연대 : 신라 헌강왕 때
□ 성격 : 축사(逐邪)의 노래
□ 표현 : 풍자(諷刺)[체념적(諦念的)인 농사]
□ 출전 : <삼국유사> 권 2
□ 주제 : 귀신을 쫓아 냄. 축신(逐神)
□ 제재 : 아내, 역신(疫神)
□ 기타 : 고려 가요에도 ‘처용가’가 있음.
□ 의의 : ① 벽사진경(辟邪進慶)의 민속에서 형성된 무가(巫歌)
② 고려와 조선조에 걸쳐 의식무, 또는 연희(演戲)로 계승됨.
728x90
반응형
LIST